IT수업/JAVA PART2

IT 수업 13주차 (56) Swing을 DB에 연결

워제하 2024. 3. 22. 11:38

 

 

- INSERT 

 

 

먼저 swing을 준비한다. ( 수정 전 전체 소스코드는 맨 밑에 있음)

 

 

- DB_INSERT 버튼 클릭

 

< 실행화면 >

 

 

 

 

 

- 테이블 만들기

 

 

 

 

- DB 연결하기

테이블이 만들어졌으면 자바와 연결시켜준다.

이전에 사용한 코드를 복사해왔다.

 

그리고 throw Exception 을 해준다. 

 

id열에 Auto Increment 체크 해준다.

 

 

 

 

 

- actionPerformed 에 추가로 코딩하기

pstmt = conn.prepareStatement(""); 입력하고 try catch 클릭하면 된다.

그러면 자동으로  try catch가 나온다.

 

DB를 확인하면 이렇게 값이 들어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SELECT

DB_SELECT 버튼을 누르면 성공했다는 표시가 뜨게된다.

 

 

 

 

 

기존에 넣은 데이터를 가져와보도록 할 것이다.

 

pstmt = conn.prepareStatement(""); 입력하고 try catch 클릭하면 됨

 

< 실행화면 >

콘솔창에서 데이터들을 확인할 수 있다.

 

 

- 테이블 구조 생성

번호, 메모, 날짜 데이터가 들어가는 테이블의 구조를 만들어본다.

 

 

 

 

 

- scroll 추가

panel을 멤버변수로 빼주고 시작한다.

 

 

그리고 scroll을 추가하는 코드를 작성해본다.

 

 

 

 

 

- 배열 값 넣기

만들어진 테이블에 배열값이 들어가는 것을 볼 수 있다.

 

 

 

 

 

 

- scroll 숨기기

.setVisible(false) 하면 기존 스크롤이 숨겨지고

.setVisible(true) 하면 스크롤이 보여진다.

 

 

 

 

 

 

- 오류발생 해결

select를 여러번 눌렀을 때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있다.

 

해결을 위해 먼저 selectScroll과 table을 전역화해주고

 

panel에 추가해준다.

 

그리고 component에 selectScroll을 추가해준다.

 

selectScroll의 setBound도 추가해준다.

 

 

 

그리고 이렇게 변경해준다.

panel.add는 없애주거나 삭제해준다.

 

그러면 select를 여러번 눌러도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 update

마우스이벤트로 업데이트 해볼 것이다.

 

 

 

마우스클릭시 발생하는 이벤트에 코드를 작성해준다.

 

 

 

- 수정하기 위해 수정전 데이터를 저장하는 리스트 작성

 

 

마우스 이벤트에 수정리스트를 추가해준다.

 

 

 

actionPerformed 의 btn4에 update 코드를 작성해 볼 것이다.

 

 

비어있는 8번 행에 값을 넣고 update를 눌러봤다.

다시 select를 눌러도 값이 바껴있는 걸 볼 수 있고 DB에서 확인해도 값이 변경된 것을 볼 수 있다.

 

 

 

 

 

 

 

 

< 수정 전 SWING 소스코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