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수업/리눅스

IT 수업 25주차 (202) 계정

워제하 2024. 6. 12. 10:06

 

useradd : 사용자 계정 생성명령어

-u :UID 지정
-g :주그룹 지정
-G :보조 그룹 지정
-c : 주석,설명
-d : 홈디렉토리 경로 지정
-m:  메뉴얼 참조(man useradd)
-k : 스컬디렉토리 경로 지정
-s : 쉘 지정 

 

 

유저 생성(그룹지정)
-------------------
useradd -g test1 test3
cf) 그룹을 지정하지 않으면 uid와 동일한 gid의 그룹이 생성된다
useradd -G heath test4

 

 

 

유저 생성(홈디렉토리경로지정)
-------------------
useradd -d /export/home/test6 test6
useradd -d /export/home test8
useradd -d /export/home/heath test9
주의1 ) 홈디렉토리 경로 변경시 해당되는 홈디렉토리를 먼저 생성해야 한다.
주의2 ) 홈디렉토리 경로 지정시 경로 끝에 계정명과 동일한 홈디렉토리명까지 기재해야 한다.

 

 

 

cat 으로 사용자계정 정보를 확ㅇ니해본다.

 

 

cat은 너무길기 때문에 tail로 밑에서 5번째 줄만 확인해본다.

 

 

- 암호화된 password 확인

 

 

- 그룹 확인

 

- 권환 확인

 

 

- 메일확인

 

 

 

 

test1 유저를 만들고 사용자 정보를 확인해본다.

 

 

shadow로 test1을 확인해보는데 !! 이 느낌표 두개는 비밀번호가 없다는 뜻이다.

 

그래서 passwd 로 비밀번호를 만들어 주고 다시 shadow를 본다면 암호화 된 비밀번호가 잘 생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리고 test1의 그룹, 메일 등을 확인해본다.

 

 

 

putty 창에서 상단 바에 마우스 우클릭한 후 Duplicate Session을 눌러 test1 계정으로 로그인해보고 확인해본다.

그럼 최상위에 test1 계정이 들어가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usermod : 사용자 계정정보 변경 명령어

-d : 홈디렉토리 설정 
-m : 홈디렉토리 이동

 

 

 

 

앞에서 연 test1의 putty는 꺼주고 실행한다.

 

계정정보가 1003에서 5000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test1의 그룹을 user3으로 지정해준다.

 

그리고 그룹을 변경시켜본다.

 

 

- 쉘 종류 바꾸기

test1 계정을 본 쉘로 바꾸기

 

Duplicate Session으로 test1 계정을 로그인하면 쉘을 확인 할 수 있다.

 

 

 

 

userdel : 계정 삭제 명령어

-r

 

계정 삭제 실습을 위해 user100 계정을 만들어 주고 각 종 정보들을 확인해본다.

 

 

 

확인했으면 userdel로 user100을 삭제하고 다시 정보들을 확인해본다.

그러면 user100이 사라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하지만 home과 mail에는 user100이 삭제되지 않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므로 home과 mail에도 삭제시키기 위해 밑의 실습을 해본다.

 

 

- 홈디레토리랑 메일도 함께 삭제

 

실습위해 user200 계정을 만들고 삭제해본다.

 

그리고 /home을 확인해보면 user200 위의 실습과는 달리 사라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IT수업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수업 25주차 (204) 변수  (0) 2024.06.12
IT 수업 25주차 (203) 쉘, 프로필  (1) 2024.06.12
IT 수업 25주차 (201) 권한  (1) 2024.06.11
IT 수업 25주차 (200) VI  (1) 2024.06.11
IT 수업 25주차 (199) 파이프라인  (0) 2024.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