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ven repository에서 lombok을 검색해 최신버전의 코드를 가져온다.
그리고 pom.xml 파일에 붙여넣기 해준다.
그리고 log4j 코드 위치로 가서 scope를 주석처리해준다.
그리고 마우스 우클릭 -> MAVEN ->update project를 해준다.
업데이트를 하면 다운받은 lombok.jar 파일이 생성된다.
더블클릭으로 lombok을 실행시켜주고 Specify location을 클릭해 STS.exe를 선택해준다.
그리고 install 해준다.
설치가 다 되었으면 STS를 끄고 STS 위치에 가서
STS.ini 파일에 들어가 절대경로로 된 lombok을 상대경로로 바꿔준다.
STS를 실행시킨 뒤
HomeController에 어노테이션 @Slf4j을 입력하여 import해주고 home 함수 안에 콘솔에 찍힐 메세지도 작성해본다.
< 콘솔창 >
● root-context.xml
애플리케이션 전체에서 공유되는 설정파일
전역 설정 or Bean의 정의
주로 비즈니스 로직과 관련된 서비스, Dao 등을 설정
데이터베이스 연결, 트랜젝션 관리, 보안설정(Spring Security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전체에서 공유되는 설정을 포함
딱 한번 생성되는 Bean들이 정의되며, 모든 웹 요청에 공유
● Servlet-context.xml
FrontController 역할을 하는 DispatherServlet 설정 파일
정적 자원의 경로(css, js..) 지정
MVC Component(@Controller, @Service, @Repository...)에노테이션 활성화
View Resolving 등 설정
ex00파일을 복사하여 ex01파일을 만들어준다.
이때 tomcat을 더블클릭해 모듈에 들어가서 이전에 실행하면서 연결된 ex00프로젝트를 제거해준다.
그래야 새로 만든 ex01프로젝트가 실행될 수 있다.
com.example.app 안에 controller 패키지를 만든다.
그리고 컨트롤러 안에 이전에 만들어진 HomeController를 넣어준다.
다음은 servlet-context.xml에 base-package 위치에 .controller를 추가해준다.
그리고 domain패키지도 만들어준다.
domain 안에 dto, dao, service 패키지를 각각 만들어준다
dto 패키지 안에 PersonDto 클래스를 만들고 name, age, addr 객체를 만들어준다.
클래스 객체 코드 위에 어노테이션을 적고 ctrl + space하면 자동으로 import 된다.
@Getter, @Setter, @ToString,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를 작성해준다.
가장 기본적인 어노테이션들이다.
여기서 @Getter, @Setter, @ToString 대신에 @Data로 한번에 설정할 수도 있다.
● 라이브러리 추가
프로젝트에서 마우스우클릭으로 properties에 들어가 java Build Path에 들어가 classpath를 선택해 add library를 해준다.
JUnit을 선택한다.
4버전을 선택하고 finish 해준다.
'IT수업 > STS3'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수업 19주차 (114) JUnit 테스트 2 (Beans, Di) (0) | 2024.04.29 |
---|---|
IT 수업 19주차 (113) Junit 테스트(lombok, @Builder, 로그레벨) (0) | 2024.04.29 |
IT 수업 19주차 (111) 한글 깨짐 방지 (0) | 2024.04.29 |
IT 수업 19주차 (110) 스프링 환경설정 (0) | 2024.04.29 |
IT 수업 19주차 (109) 프레임워크 기초 (0) | 2024.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