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수업/STS3

IT 수업 19주차 (110) 스프링 환경설정

워제하 2024. 4. 29. 11:53

 

 

 

● java Download

java version은 11버전으로 해준다.

https://jdk.java.net/archive/ ( 다운로드 링크)

 

 

다운받은 파일의 bin주소를 복사해 시스템 속성의 path의 맨 위에 붙여 넣어준다.

 

 

 

( window + r로 실행창을 켜서 sysdm.cpl로 시스템 속성에 들어간다. )

 

 

cmd를 켜서 java -version으로 자바의 버전을 확인해본다.

 

 

 

● sts Download

구글에 sts download라고 검색하면 spring tools가 뜨게 된다.

해당 링크로 들어가 밑으로 쭉 내리면 밑에 처럼 뜨게 된다.

 

 

다운받으면 이전에 자바와 서블릿을 작업했던 파일 안에서 압축을 해제 시켜준다.

 

다운에 실패하면 알집을 깔아서 알집에서 실행하면 된다. (주소가 길어서 다운이 안된다는 에러 발생함)

 

 

 

 

다운이 완료되었으면 해당파일 위치에 들어가서 STS.exe를 동작시켜본다.

 

 

동작하는지 확인하고 종료한다.

 

 

그리고 STS.ini에서 설정을 할 것이다.

 

openFile 밑에 -vm을 적고 그 밑에 

위에서 설치한 자바의 bin 위치를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준다. (틀리면 동작하지 못한다.)

그리고 실행시켜본다.

 

 

작동이 되면 다운로드 폴더에 새폴더를 만들어 작업을 저장할 파일을 만들고 경로를 이쪽으로 지정해 실행시켜준다.

 

 

 

 

vmware 서버는 삭제해준다.

 

 

 

맨 위 네비의 window를 선택해 Preferences에 들어가 General에 Workspace를 누르고 인코딩을 위해 other에 UTF-8 을 선택해준다.

 

 

그리고 file을 쳐서 json, css, html, jsp files 모두 인코딩을 unicode(UTF-8)로 설정해준다.

 

 

 

 

● 톰캣 연결하기

톰캣 다운로드와 초기 설정은 jsp_servlet 초기 설정에 적어놨다.

 

file ->  new -> other에 들어가 server 검색하여 클릭한다.

 

apache의 톰캣 9버전을 선택해준다.

 

그리고 브라우저를 선택해 톰캣의 위치를 선택한다.

 

 

톰캣을 실행시켜 포트번호 8081을 설정해준다.

 

 

 

● spring project 만들기

file -> new -> spring legacy project에 들어간다.

configure templates를 눌러 spring-defaults 빼고 안에 들어있는 프로젝트들을 다 삭제 시켜준다.

( 다른 방법으로는 window의 preferences의 spring 안의 Template Projects에 들어가면 된다.)

( spring-defaults는 삭제하면 안됨 )

 

 

 

그리고 https-context.xml 파일을 다운받아준다.

https-content.xml
0.01MB

 

 

workspace의 metadata의 plugins에 content.core에 들어가 다운받은 https-content.xml 파일을 넣어준다.

그리고 실행시켜본다.

 

 

 

그리고 실행시켜 다시 Spring Legacy Project에 들어가 MVC Project가 생겼는지 확인해본다.

(만약에 mvc 안나타나면 workspace안에 있는 파일들 다 지우고 다시 순서대로 해야한다.)

 

name을 지정하고 MVC Project를 눌러 next를 해준다.

 

 

에러가 뜨면 

org.springframework.templates.mvc-3.2.2.zip
0.01MB

 

파일을 받아서 workspace 의 metadata-> sts -> content -> templates.mvc 에 압축을 풀어준다. 

 

그리고 sts를 실행시킨다. (zip 파일이 있으면 삭제해준다.)

 

다시 spring legacy project 에 들어가서 이름을 적고 mvc를 선택한 후 next를 누른다. 

 

 

그러면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게 되는데 그 안에 도메인을 넣는다.

 

그리고 확인하면 해당 프로젝트가 생기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프로젝트를 실행해보면 이렇게 나오게 된다.

한글 깨짐은 다음 게시글에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