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수업/리눅스

IT 수업 26주차 (209) AWS 배포 2

워제하 2024. 6. 18. 10:41

 

PUTTY를 열고 시작한다.

PUTTY를 열기 위해서는 AWS로 가서 해당 인스턴스 시작을 누른 뒤 PUTTY를 실행해 ec2-user로 로그인 하면 된다.

 

 

 

 

 

 

● jenkins 설치

jenkins 다운로드를 검색해 red hat을 클릭한다.

 

 

그리고 sudo su 로 관리자로 이동한다.

 

 

 

 

밑의 코드를 sudo 빼고 차례대로 putty에 복사 붙여넣기 해주는데 붙여넣기 할때는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된다.

wget -O /etc/yum.repos.d/jenkins.repo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jenkins.repo

rpm --import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jenkins.io-2023.key

 

 

yum install jenkins 코드도 붙여 넣기 해준다.

 

 

모두 실행 했으면 

vi /usr/lib/systemd/system/jenkins.service

를 입력하여 vi 로 이동해준다.

 

안으로 들어가서 /8080 으로 위치를 찾고 o 를 눌러 편집모드로 전환한 뒤 8080을 9090으로 변경하고 esc 누르고 :wq로 저장하고 나온다.

 

 

나온 후 

systemctl restart jenkins

systemctl enable jenkins

를 입력하여 jenkins를 실행시켜준다.

 

 

다 했으면 aws로 가서 인스턴스의 보안의 보안 그룹을 눌러 인바운드 규칙 편집 눌러 포트번호는 9090, 내 IP 를 선택해주고 저장한다.

 

 

 

 

 

 

 

 

다 했으면 다시 인스턴스로 와서 IP 주소를 복사 한 뒤 인터넷 주소창에 해당 IP 를 적고 :9090 을 붙여보면 젠킨스가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3.38.234.215:9090)

 

 

 

 

 

 

/var/lib/jenkins/secrets/initialAdminPassword 를 복사하여 putty로 가 cat 뒤에 붙여 넣기 해준다.

 

 

그러면 값이 나오는데 해당 값을 블럭처리하여 복사한 뒤 jenkins 빈 칸에 붙여 넣기하고 countinue를 눌러 준다.

 

 

그리고 install suggested plugins 을 눌러 다운 받아 준다.

 

 

 

 

 

 

계정명을 admin으로 해서 user를 만들어 준다.

 

 

 

 

 

save and finish를 누르면 빨간 불이 뜨는데 확인해보면 용량이 부족하다는 알림이다.

 

 

 

 

그래서 putty에서 472M 보다 용량을 늘려 줄 것이다.

 

 

 

 

vi /etc/profile 로 profile vi 로 이동해준다.

 

 

 

 

shift + g 로 문서 맨 밑으로 이동해 o로 insert 모드로 변경한 후 작성해준다.

(이때 오타나면 안됨!!!!)

 

sudo umount /tmp

sudo mount -t tmpfs -o size=5g,mode=1777 overflow /tmp

 

esc 누르고 :wq 를 눌러 저장하고 나온다.

 

 

 

 

 

 

상단 바를 눌러 duplication session 으로 새로운 putty를 열어 ec2-user로 로그인 한 후 df -h 로 용량을 확인 해본다.

그러면 5기가로 늘어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관리자 계정 putty로 돌아와 reboot 해준다.

 

 

젠킨스로 가서 새로고침하고 로그인을 해준다.

 

 

만약 아직 빨간 불이 뜬다면 putty에서 sudo su 로 관리자 계정으로 이동해

systemctl stop jenkins

systemctl restart jenkins

명령어를 사용해 젠킨스를 다시 실행시켜주고 젠킨스 페이지를 새로고침하면 빌드 실행 상태에 오류가 사라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