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수업/JSP_SERVLET 19

IT 수업 17주차 (98) 서블릿 기초

● 서블릿 라이프 사이클 1. 요청이 오면, Servlet 클래스가 로딩되어 요청에 대한 Servlet 객체가 생성된다. 2. 서버는 init() 메소드를 호출해서 Servlet을 초기화 한다. 3. service() 메소드를 호출해서 Servlet이 브라우저의 요청을 처리하도록 한다. 4. service() 메소드는 특정 HTTP 요청(GET, POST 등)을 처리하는 메서드 (doGet(), doPost() 등)를 호출한다. 5. 서버는 destroy() 메소드를 호출하여 Servlet을 제거한다. ● Servlet의 생명 주기(Life cycle) Servlet 객체 생성 → init() 호출 → service(), doGet(), doPost() 호출 → destroy() 호출 최초 한번 최초 한..

IT 수업 17주차 (97) JSTL

● JSTL JSTL은 자바코드를 html태그형식으로 간편하게 사용하기 위해 나온 라이브러리이다. JSP에서 java코드가 들어갈때마다 매번 이 태그를 넣어 사용하면 가독성도 굉장히 떨어지고 사용하기가 불편해지기 때문에 나온것이 JSTL라이브러리 ● taglib 태그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 위해 taglib 지시자를 사용한다. 코드에 core를 넣어준다. 그리고 jstl을 다운 받아준다. 두번째 servlet용을 다운받아준다. 다운받은 파일을 WEB-INF의 lib폴더에 넣어준다. (lib 폴더 없으면 만들어서) ● 변수 선언 ● 변수 출력(확인) 선언했던 변수를 출력해본다. ● 배열 지정 ● if 문 ● choose when (if else 문과 비슷) < ..

IT 수업 17주차 (96) 백엔드를 view에서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

백엔드에서 작성한 코드들을 뷰에서 표현하기 위한 작업을 해볼 것이다. 백엔드는 자바에서 작성될 것이고 뷰에서 표현하는 것은 JSP에서 작성되게 된다. 는 백엔드에서 작성하는 코드들이고 나머지 코드들이 뷰에서 표현하기 위한 코드들이다. ● input 값 확인 먼저 스트립틀릿 형식으로 작성해본다. 폼에 값을 넣어본다. 이전에 작성한 스크립틀릿은 주석처리하고 파라미터식으로 작성해본다. 그러면 이전과 같은 결과가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같은 값이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스크립틀릿 형식보다는 파라미터 형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 ● Attribute 값 확인 이번에는 Attribute 식으로도 작성해본다. session과 pageContext, application..

IT 수업 17주차 (95) 내장객체2_Session, Cookie

● Session Session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유지되어야 하는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객체 웹 애플리케이션은 Session 객체를 사용하여 특정 클라이언트의 세션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세션을 통해 클라이언트와 지속적인 상태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세션은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며, 브라우저를 닫거나 세션이 만료되면 삭제된다. Session을 실행하기위해 GetSession과 SetSession jsp 파일을 만들어 준다. -SetSession.jsp 파일 - GetSession.jsp 파일 두 파일을 작성했으면 SetSession쿠키를 실행해본다. 실행은 새로운 페이지를 열어 localhost:8080/01_JSP/C06Session/SetSession.jsp를 입력해서 들어간다. 처음 해당 ..

IT 수업 17주차 (94) 내장객체

● PageContext PageContext는 JSP 페이지 내에서 사용 가능한 객체들의 집합을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JSP 페이지 내에서 다른 객체들에 접근하고 데이터를 공유하는 데 사용된다. 주로 JSP 페이지에서 스크립트 요소나 표현 언어 (EL) 등을 이용하여 다른 Java 객체나 속성에 접근할 때 사용된다. ● Request Request는 클라이언트(브라우저)가 서버에게 보내는 요청(Request) 정보를 나타낸다. 이를 통해 웹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은 데이터나 정보를 처리하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폼을 제출하거나 URL을 통해 파라미터를 전달할 때, 해당 요청 정보는 Request 객체에 저장된다. 고객주소에서 0:0:0:0:0:0..

IT 수업 17주차 (93) Forward, Redirect

● Forward 특정 서블릿에 대한 요청을 다른 서블릿이나 JSP로 넘겨줄 때 사용한다. (파라미터를 넘길 수 있다.) 상대방에게 페이지 주소를 숨길 때 사용 할 수 있므며, redirect 보다 성능이 좋다. URL은 바뀌지않으며, 내부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 Forward방식 페이지 요청 - Request는 유지한채 또다른 URI경로로 이동 - 주소창의 URL경로는 최초요청시의 URL로 유지된다 - Request객체의 내용은 최초요청내용이 유지된다. 실행하기 위한 파일을 만든다. 02Page를 만든다. 그리고 03Page를 만든 뒤 01PAGE를 실행시켜본다. 페이지는 02Page이지만 02Page를 거쳐 03Page가 출력이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번에는 03Page에 04Page를 ..

IT 수업 17주차 (92) get, post, import

● get방식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내용을 나타내기 위해 html 파일로 하나 만든다. - request_get.html 파일 전송받은 내용을 받기 위한 jsp 파일을 만든다. - result.jsp 파일 request html 파일을 실행시키면 이렇게 나온다.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치고 전송버튼을 누르면 jsp파일에 입력했던 내용들이 전송되어 출력된다. 앞의 코드에서 배경색을 추가해봤다. 순서가 중요하기 때문에 요청을 받는 파라미터들을 맨 위로 올려주었다. ● post 방식 - html 파일 - jsp 파일 실행시켜보면 get방식과는 달리 url에 노출이 되지 않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회원들이 로그인했을 때 비밀번호를 가리기위해 사용하면 된다. jsp 파일에 EL_TEST로 해도 작동이 된다..

IT 수업 17주차 (91) JSP 기초

C01 파일을 만들어 JSP파일들을 만들어준다. ● 선언문 : 서블릿으로 변환되는 자바 파일의 속성/기능 추가하기 위해 사용한다. ● 표현식 : HTML로 표시/표현할 때 사용되는 코드이다. 새로고침 할 때마다 숫자가 올라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스크립틀릿 JSP->Servlet으로 변환될 때 Servlet내의 Service라는 함수안에서 처리되는 로직으로 Service라는 함수 내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지역변수나 반복/분기처리 가능하다. 하지만 함수를 벗어나면 지역변수는 소멸되기 때문에 요청시(ex. 새로고침) 되면 상태값이 초기화된다. 반복문을 사용할 수 있다.

IT 수업 17주차 (90) JSP위한 기본 설치

웹 개발용 이클립스를 다운 받아 준다. 다음으로 톰캣을 다운 받아준다. ● java 17버전 다운로드 tomcat 9버전을 사용하기 위해 java의 버전은 17버전이어야한다. cmd창에 java -version을 눌러 java의 버전을 확인해보고 17이 아니라면 다운을 받아주면 된다. 다운은 open jdk download로 해주면 된다. 다운을 받았으면 sysdm.cpl에 들어가 고급 -> 환경변수를 눌러 c폴더안의 17버전 자바의 bin 주소를 path에 새로 추가하여 맨 위로 이동시켜준다. ● Tomcat 세팅 다음은 다운받은 톰캣을 실행시켜준다. admin을 만들어준다. java 머신은 아까 받은 jdk-17 버전으로 해준다. 체크 해제 하고 finish 눌러준다. services.msc에 들어가..